건강관련/고급지식

제대혈(umbilical cord blood)이란 ?

전기실무교육원 2010. 8. 6. 11:21

 

제대혈 [, cord blood]

출산 때 탯줄에서 나오는 탯줄혈액을 말한다. 백혈구와 적혈구·혈소판 등을 만드는 조혈모세포를 다량 함유하고, 연골과 뼈·근육·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도 갖고 있어 의료가치가 매우 높다.

 

1988년 프랑스에서 판코니빈혈(Fanconi's anemia; 백혈병과 척추기형을 동반하는 빈혈)을 앓고 있는 5세 남자아이에게 처음으로 이 혈액에서 뽑은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성공하였다.

 

특히 골수를 구할 수 없는 백혈병 환자에 대한 새로운 혈액암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자신이나 가족의 백혈병과 암·혈액질환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골수를 이식하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고 수술 성공률도 높다.

 

심근경색증과 퇴행성관절염·알츠하이머병 등의 치료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 때문에 제대혈을 초저온 상태로 보관해 두는 제대혈은행이 운영중이다.


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75410

.....................................................................................................................

 

제대(제대혈) 보관사업

가) 제대보관 개요
제대(umbilical cord)란 임신 기간 동안 엄마가 태아에게 성장에 필요한 모든 세포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탯줄을 뜻하며, 제대에는 제대혈보다 월등히 많은 줄기세포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제대보관사업(제대은행)은 조혈모세포를 포함한 줄기세포의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이식을 할 수 있도록 분만 후 제대를 채취하여 소정의 검사과정 및 줄기세포의 분리, 가공과정을 거쳐 냉동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공급하는 일을 하는 기술 집약적인 산업입니다.

 

제대 혹은 제대혈 보관사업의 핵심은 유핵세포를 얼마나 많이 보관할 수 있고, 보관기간 중 생존률을 얼마나 극대화 할 수 있느냐인데 이 두가지 측면에서 제대 보관은 제대혈 보관과 비교하여 우위에 있습니다.

 나) 사업개요
  당사는 제대(탯줄) 줄기세포 위탁보관 프로그램 자체브랜드인 "아이셀뱅크"를 런칭하고 영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아이셀뱅크"는 현재 여러 바이오업체들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제대혈 위탁보관과는 차별화되는 상품입니다.  

 

제대혈보관은 탯줄의 혈액에서 조혈모세포를 분리하고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지만 그 양이 극소량인  반면,  "아이셀뱅크"는 제대혈이 아닌 탯줄 내부의 와튼젤리층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훨씬 더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양이 풍부한 만큼 각종 난치성 질환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횟수도 많아집니다. 또한 세포의 활동성 역시 탁월합니다.

 

 또한 당사는 탯줄(제대) 줄기세포 위탁보관과 함께 유치(치아)줄기세포 위탁보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유치줄기세포는 지금껏 흔히 버려지던 치아의 치수안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말하며, 치수조직에 고밀도로 존재합니다.  

 

치아 줄기세포 역시 증식과 분화능력이 매우 탁월하여 치주 골 질환, 치주 조직의 재생  뼈, 연골, 피부, 신경 등의 조직에 근본이 되는 세포로 재생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혈액질환, 간, 척수손상등을 시작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난치성 질환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출처 :(주)엠씨티티코어

...................................................................................................................................................

 

 

 


제대혈은 기본적으로 골수이식 수술을 필요로 하는 모든 질병에 사용되는데, 현재 백혈병을 비롯한 각종 악성 혈액질환 및 암, 선천성 대사장애, 면역장애 질환 등 수십 여 난치성 질환 치료의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제대혈은 조직적합성항원(HLA) 6개가 모두 일치해야 이식이 가능한 골수와 달리 3개 이상만 일치해도 이식이 가능해 부모형제 등 가족에의 활용가능성이 골수에 비해 훨씬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이 같은 제대혈을 이용한 가시적 치료성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고, 이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머지않아 그 유용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현재 전체 출산 산모의 10% 이상이 제대혈 보관을 신청하고 있습니다.

 



 

  현재 치료되고 있는 질환들
   

악성종양 : 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고형암(뇌종양, 비호지킨, 림프종, 생식세포종양, 난소암, 고환암, 소세포폐암, 신경아세포종) 난소암, 폐암 등
혈액질환 및 혈색소 질환 : 무거핵구성 혈소판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 선천성 혈구감소증, 이반증후군, 판코니 빈혈, 지중해성 빈혈, 코스트만 증후군, 겸상적혈구성 빈혈
면역부전 : ADA효소결핍증, 만성 육아종병, 중증복합면역결핍증, Wiskott-Aldrich 증후군
선천성대사장애 : 부신백질이영양증, 아밀로이드증, 무표지림프구증후군, 선천성각하부전증, 고셔씨병, Gunter 병, Hunter 증후군, Hurler 증후군,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Lesch-Nyhan, 증후군, 백혈구 부착 결핍증, 골화석증
자가면역질환 :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연구개발중인 질환들
    신경계 질환 :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병, 치매, 뇌졸중
기타 질환 : 척수손상, 당뇨병, 심근경색증, 간질환, 근이양증



  제대혈 이식 골수 이식
장점
- 채취 용이
- 필요시 즉시 이식 가능
- 조직적합성항원(HLA) 6개중 3개만
   일치해도 이식 가능
- 거부반응(이식편대숙주질환. GVHD)
   발생빈도 및 심각성 낮음
- 거대세포바이러스(CMV) 감염 가능성낮음
- 증식 및 분화 능력 우수
- 이식후 재발 가능성 낮음
- 필요한 만큼의 골수 채취 가능
단점
- 조혈줄기세포의 수 한계
   (현재 15세 미만의 소아환자에게 적용)
- 생착이 상대적으로 지연
- 채취상의 고통, 비용 등의 어려움
- 조직적합성항원(HLA) 6개가 모두 일치
   해야 하므로 골수 공여자 확보가 어려움
- 이식시까지 장기간 소요
- 거부 반응(이식편대 숙주질환. GVHD)
   발생빈도 및 심각성 높음

 

출처 : 네이버지식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