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 [臍帶血, cord blood]
출산 때 탯줄에서 나오는 탯줄혈액을 말한다. 백혈구와 적혈구·혈소판 등을 만드는 조혈모세포를 다량 함유하고, 연골과 뼈·근육·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도 갖고 있어 의료가치가 매우 높다.
1988년 프랑스에서 판코니빈혈(Fanconi's anemia; 백혈병과 척추기형을 동반하는 빈혈)을 앓고 있는 5세 남자아이에게 처음으로 이 혈액에서 뽑은 조혈모세포를 이식하여 성공하였다.
특히 골수를 구할 수 없는 백혈병 환자에 대한 새로운 혈액암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자신이나 가족의 백혈병과 암·혈액질환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골수를 이식하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고 수술 성공률도 높다.
심근경색증과 퇴행성관절염·알츠하이머병 등의 치료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 때문에 제대혈을 초저온 상태로 보관해 두는 제대혈은행이 운영중이다.
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75410
.....................................................................................................................
제대(제대혈) 보관사업
가) 제대보관 개요
제대(umbilical cord)란 임신 기간 동안 엄마가 태아에게 성장에 필요한 모든 세포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탯줄을 뜻하며, 제대에는 제대혈보다 월등히 많은 줄기세포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제대보관사업(제대은행)은 조혈모세포를 포함한 줄기세포의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이식을 할 수 있도록 분만 후 제대를 채취하여 소정의 검사과정 및 줄기세포의 분리, 가공과정을 거쳐 냉동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공급하는 일을 하는 기술 집약적인 산업입니다.
제대 혹은 제대혈 보관사업의 핵심은 유핵세포를 얼마나 많이 보관할 수 있고, 보관기간 중 생존률을 얼마나 극대화 할 수 있느냐인데 이 두가지 측면에서 제대 보관은 제대혈 보관과 비교하여 우위에 있습니다.
나) 사업개요
당사는 제대(탯줄) 줄기세포 위탁보관 프로그램 자체브랜드인 "아이셀뱅크"를 런칭하고 영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아이셀뱅크"는 현재 여러 바이오업체들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제대혈 위탁보관과는 차별화되는 상품입니다.
제대혈보관은 탯줄의 혈액에서 조혈모세포를 분리하고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지만 그 양이 극소량인 반면, "아이셀뱅크"는 제대혈이 아닌 탯줄 내부의 와튼젤리층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훨씬 더 많은 양의 줄기세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양이 풍부한 만큼 각종 난치성 질환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횟수도 많아집니다. 또한 세포의 활동성 역시 탁월합니다.
또한 당사는 탯줄(제대) 줄기세포 위탁보관과 함께 유치(치아)줄기세포 위탁보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유치줄기세포는 지금껏 흔히 버려지던 치아의 치수안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말하며, 치수조직에 고밀도로 존재합니다.
치아 줄기세포 역시 증식과 분화능력이 매우 탁월하여 치주 골 질환, 치주 조직의 재생 뼈, 연골, 피부, 신경 등의 조직에 근본이 되는 세포로 재생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만큼 혈액질환, 간, 척수손상등을 시작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난치성 질환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출처 :(주)엠씨티티코어
...................................................................................................................................................
![]() |
출처 : 네이버지식Q&A |
'건강관련 > 고급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감전재해 예방과 접지실태 (0) | 2011.11.29 |
---|---|
줄기세포란? (0) | 2011.06.20 |
SNS (Social Networking Site)소셜네트워킹 사이트 (0) | 2010.07.17 |
본초강목(本草-綱目) (0) | 2010.06.25 |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 (0) | 201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