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항
접지공사는 전기공사 중 중요한 공종이며 대부분 공사초기에 접지극 혹은 접지봉을 부설하여야 한다. 접지극이나 접지봉의 분류방법으로는 목적에 의한 분류, 시공법에 의한 분류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공사별 분류에 의한 접지공사 시공법이 다를 수 있다.접지공사의 주요자재는 접지봉, 접지판, 화학적 저감제, 접지선, 나동선, 접지단자함 등이 필요하며, 접지극 시공 후 규정된 접지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한 접지 tester를 준비하여야 한다.
가. 접지극의 매설방법
1) 보통 지하 75㎝이하로 매설하나, 최하 동결방지층 이하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지하 75㎝부터 2m이상 까지의 접지선은 합성수지관 또는 이와 동등한 절연효과와 세기를 갖는 전선관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3) 접지선은 절단될 우려가 없는 장소에 부설한다.
4) 접지극판은 일반적으로 수직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5) 복수의 접지극을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 상호간을 2m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접지저항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점검이 용이한 곳에 접지단자함을 시설하는 것이 좋다.
나. 접지극의 매설시기
접지 시공 시점은 토목공사의 오·배수 관로, 지역난방 및 도시가스 배관 등과의 시공시 마찰을 피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 거푸집 제거 후 되메우기 전에 GL-3m 정도의 깊이에 먼저 시공함이 바람직하다.(수변전설비에 시공되는 접지는 모두 4개로서 표준 설계도의 유효간격을 유지하면서 정확히 시공하기 위하여는 18m×4m의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 다. 매설 위치 및 방법
- 1) 매설 위치는 가능한 습기가 있는 장소로서 가스, 산 등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없어야 한다.
- 2) 접지선, 접지봉은 원칙적으로 유효간격을 유지하면서 표준도에 의거 시공하여야 하나, 지장물 등에 의하여 불가능할 경우 접지봉간의 거리를 2m 이상 유지하면서 일직선상에 다중접지한다.
- 라. 접지배관
- 2) 접지선, 접지봉은 원칙적으로 유효간격을 유지하면서 표준도에 의거 시공하여야 하나, 지장물 등에 의하여 불가능할 경우 접지봉간의 거리를 2m 이상 유지하면서 일직선상에 다중접지한다.
- 1) 접지 배관을 GL 상부에 조인트 박스를 설치하고 조인트 박스를 거쳐 접지단자함에 이르도록 시공하여 배관을 통한 누수를 방지한다.
- 2) 접지선의 배관이 끝나는 부분에서 수절단자 처리하여 전선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누수를 방지한다.
- 마. 접지선 연결
- 2) 접지선의 배관이 끝나는 부분에서 수절단자 처리하여 전선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누수를 방지한다.
- 자재의 부식에 따른 접지극의 수명단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지봉은 전선 일체형을 사용하되 일체형이 없을 경우 동봉과 접지선을 바인드선으로 묶고 납땜 처리하며(클램프 사용금지), 접지선 상호간의 연결은 동관 슬리브를 사용하거나 전선 접속방법에 의하여 접속한다.
- 바. 시험용 접지단자
- 1) 전기실 옥외에 설치되는 접지군으로부터 5∼10m 간격으로 L1, L2 단자를 설치한다.
- 2) 접지단자는 접지군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 접지단자함
- 2) 접지단자는 접지군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접지단자 결선은 접지측은 하부, 피뢰침측은 상부에 결선하여 최단거리로 시공한다.
- 아. 접지저항 저감방법
- 아파트 단지가 고지대나 구릉지에 위치함에 따라 접지 저항치가 규정값 이하로 나오지 않는 지역을 대지 저항률이 1,000 Ω·m를 넘는 고저항률 지대라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별한 방법을 채택한다.
1) 접지방법 개선
- ① 접지봉의 수를 늘려 병렬 접지한다.
- ② 접지봉의 길이를 길게 한다.
- ③ 접지봉의 매설심도를 깊게 한다.
- ② 접지봉의 길이를 길게 한다.
- 2) 심타법의 사용
- 소정의 접지저항치를 얻을 때까지 접지극을 깊이 박는 방법
3) 망상(메시) 접지극 사용- 4) 저감제의 사용
- ① 벤토나이트
- ② 식염, 염화칼슘, 탄산소다
- ③ 유산마그네슘, 유산 등, 암염자. 사진촬영
- 접지공사는 터파기 후 작업관경, 접지봉 매설 및 결선 후 사진 촬영하여 보관한다.
- ② 식염, 염화칼슘, 탄산소다
■ 접지목적에 따른 분류
1) 단독접지 공사: 접지공사의 종류별로 개별적인 접지방식
2) 공용(등전위)접지공사: 모든 종류의 접지공사를 병렬로 연접하여 접지 사고시 전위상승을 억제하는 접지방식
■ 접지 시공법에 의한 분류
1) 병렬접지 :
접지봉 매설법 : 접지봉의 규격은 10Ø, 12Ø, 14Ø, 17Ø, 19Ø 등이 있으며 이는 접지 저항치는 깊이 매설할수록 접지봉의 지름이 굵을수록 저감되며, 규정된 저항값이 나오지 않을 경우 다수의 접지봉을 병렬로 연접하여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접지봉의 선단이 수분이
많은 층에 닿으면 갑자기 접지 저항치가 저하하는 수가 있다.
접지판 매설법 : 좁은 면적에서 원하는 접지 저항치를 얻는데 유리하고 접지봉보다 허용
전류나 접지 저항치 등이 좋으며, 접지극을 병렬접속하여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단점으로는 터파기의 인력투입이 많아질 수 있다.
2) 메쉬 공법 :
3) 방사상 메쉬 공법 :
4) 화학적 저감법
5) 심타법
■ 공사별 분류
구내 변전실의 접지공사:
피뢰침 벌비의 접지공사:
동력설비의 접지공사:
가로등의 접지공사:
맨홀의 접지공사:
의료용 접지공사:
통신용 접지공사:
'전기실무교육 > 교육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교육 전기실무교육 전기공사실무교육 전기실무특강교육 단기속성완성- 전기경력40년 (0) | 2016.05.23 |
---|---|
[마감]16년3월달/전기교육은 마감되었습니다. (0) | 2016.02.27 |
[마감]16년 01월달 전기교육/전기실무교육/전기시공실무교육/실기교육 단기속성완성[특강]모집 (0) | 2016.01.06 |
[교육마감]전기교육/전기실무교육/전기시공실무교육/실기교육 단기속성완성[특강]모집 (0) | 2015.12.03 |
[스크랩] 누전 (1) | 2015.09.22 |